서울을 잇는 한강 다리 32개 : 위치부터 역사까지! 순서도, 건설순서 한강 다리 이름 총정리 – 서울을 가로지르는 32개의 …
페이지 정보
작성자 ParkGirl 댓글 0건 조회 505회본문
한강 다리 이름 총정리 – 서울을 가로지르는 32개의 연결고리
서울의 풍경을 바꾸고, 사람들의 일상을 이어주는 한강 다리들.
이름만 들어도 익숙한 그 다리들의 순서를 알고 계셨나요?
서울을 잇는 한강 다리 32개 완벽 정리 – 위치부터 역사까지!
안녕하세요! 최근 한강변을 따라 산책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한강에는 도대체 다리가 몇 개일까?' 그래서 자료를 뒤지고 지도를 살펴보며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한강 다리들을 정리해봤어요.
이름만 들으면 익숙하지만,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모르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쪽 상류부터 동쪽 하류까지 흐름에 따라 32개 한강 다리들을 소개해 드릴게요.
역사부터 재미있는 특징까지 알차게 담아봤으니, 끝까지 함께해 주세요 :)
한강 다리 이름 총정리 – 자전거 도로와 야경 명소까지 안내
한강 다리 32개 한눈에 보기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한강 다리는 총 32개로, 서쪽 상류에서 동쪽 하류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요.
도로 전용 다리뿐 아니라 철도와 병용하는 다리, 자전거 전용 통로가 있는 다리도 있죠.
아래에 주요 정보를 간단한 표로 정리했어요.
번호 | 다리 이름 | 위치 |
---|---|---|
1 | 일산대교 | 고양시 ~ 김포시 |
2 | 김포대교 | 김포시 ~ 고양시 |
3 | 행주대교 | 고양시 ~ 강서구 |
4 | 방화대교 | 강서구 ~ 고양시 |
5 | 가양대교 | 강서구 ~ 마포구 |
6 | 양화대교 | 마포구 ~ 영등포구 |
7 | 성산대교 | 마포구 ~ 영등포구 |
8 | 서강대교 | 마포구 ~ 용산구 |
9 | 마포대교 | 마포구 ~ 용산구 |
10 | 원효대교 | 용산구 ~ 영등포구 |
11 | 한강대교 | 용산구 ~ 동작구 |
12 | 동작대교 | 용산구 ~ 동작구 |
13 | 반포대교 | 서초구 ~ 용산구 |
14 | 한남대교 | 용산구 ~ 강남구 |
15 | 동호대교 | 성동구 ~ 강남구 |
16 | 성수대교 | 성동구 ~ 강남구 |
17 | 영동대교 | 광진구 ~ 강남구 |
18 | 청담대교 | 광진구 ~ 강남구 |
19 | 잠실철교 | 광진구 ~ 송파구 |
20 | 잠실대교 | 광진구 ~ 송파구 |
21 | 올림픽대교 | 광진구 ~ 송파구 |
22 | 천호대교 | 광진구 ~ 강동구 |
23 | 광진교 | 광진구 ~ 강동구 |
24 | 암사대교 | 강동구 ~ 하남시 |
25 | 강동대교 | 강동구 ~ 하남시 |
26 | 미사대교 | 하남시 ~ 남양주시 |
27 | 월드컵대교 | 마포구 ~ 영등포구 |
28 | 노량대교 | 노량진 ~ 노들섬 (서울 내부 연결) |
29 | 잠수교 | 서초구 ~ 용산구 |
30 | 신반포철교 | 용산구 ~ 서초구 |
31 | 중지도교 | 이촌동 ~ 노들섬 |
32 | 팔당대교 | 남양주시 와부읍 ~ 하남시 창우동 |
한강 다리의 역사와 첫 다리들
한강에 처음 다리가 놓인 건 무려 1900년이에요. 그 다리가 바로 한강철교죠.
이후 1917년엔 한강대교가, 1936년엔 광진교가 등장하면서 점차 현재의 다리 체계가 구축되기 시작했답니다.
아래는 한강 다리의 초창기 5개 목록이에요.
- 1900년 – 한강철교
- 1917년 – 한강대교
- 1936년 – 광진교
- 1965년 – 양화대교
- 1969년 – 한남대교
다리별 특별한 특징 정리
- 반포대교: 세계 최장 길이의 다리 분수 '달빛무지개분수' 설치
- 성수대교: 1994년 붕괴 사고로 안전 문제 경각심 불러일으킴
- 한남대교: 서울에서 통행량이 가장 많은 다리
- 잠수교: 홍수 시 물에 잠기도록 설계된 특이한 구조
- 청담대교: 복층 구조로 하단은 지하철, 상단은 차량
한강을 가로지르는 서울 다리 리스트! 교통·야경·특징 완벽 비교
자전거 도로가 있는 다리는?
한강변을 자전거로 달리는 즐거움, 한 번쯤 느껴보셨죠? 다리 중에는 자전거 도로가 잘 연결된 곳도 많답니다.
자전거족이라면 이 다리들을 기억해두세요!
- 잠수교 – 차량 도로와 함께 자전거 도로가 널찍하게 있음
- 잠실철교 – 철도와 병행하지만 자전거 도로 별도 확보
- 광진교 – 오래된 다리지만 자전거 전용 통로 완비
- 마포대교 – 북단에서 남단까지 자전거 이동 가능
- 한강대교 – 자전거 이용자들이 자주 찾는 코스
야경 명소가 된 한강 다리
한강 다리는 밤이 되면 그야말로 예술이 됩니다.
서울의 야경을 빛내는 대표적인 다리를 꼽아볼게요.
다리명 | 야경 특징 |
---|---|
반포대교 | 달빛무지개분수와 LED 조명 연출 |
성수대교 | 붉은 조명과 아름다운 곡선 구조가 인상적 |
한남대교 | 도심의 불빛과 어우러진 멋진 야경 |
알아두면 흥미로운 다리 이야기
- 한강철교는 1900년에 개통된 한강 최초의 다리로, 지금도 1호선 열차가 달려요.
- 노량대교는 사실 한강을 완전히 횡단하지 않아요. 동작구 내 연결도로일 뿐입니다.
- 일산대교는 한강 다리 중 유일하게 통행료가 있어요.
- 동호대교가 위치한 곳은 한강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약 23m)이에요.
- 월드컵대교는 2023년에 개통된 가장 최신의 다리예요!
한강다리, 서울다리, 다리이름정리, 한강교량, 서울여행
2025년 기준으로 총 32개의 다리가 있으며, 월드컵대교(2023년 개통)까지 포함된 최신 수치입니다.
한강철교가 1900년에 개통되어 가장 오래된 한강 다리입니다. 지금도 1호선 열차가 통과해요.
잠수교, 마포대교, 광진교, 한강대교, 잠실철교 등에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어 있어요.
반포대교(달빛무지개분수), 성수대교, 한남대교는 서울의 야경 명소로 꼽히는 다리들입니다.
노량대교처럼 서울 시 구간만 연결하는 다리도 있으며, 전체 32개 중 다수는 서울과 경기도를 연결합니다.
일산대교는 한강 다리 중 유일하게 유료 통행이며,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논란이 있기도 했습니다.
자전거도로, 서울야경명소, 도시건축, 한강산책, 교통정보
????????
한강을 지나는 다리들, 그냥 지나치기 쉬운 존재였지만 알고 나면 도시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지점이죠.
이번 글을 쓰면서 저도 그동안 무심코 지났던 다리 하나하나가 참 소중하게 느껴졌답니다.
서울을 사랑하신다면, 자전거 타고 다리 위를 건너보는 것도 정말 추천드려요.
그 다리 위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도심의 풍경은 분명 잊지 못할 순간이 될 거예요 :)